Ubuntu나 Raspbian 등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위해선 해당 배포 웹페이지에서 iso 파일을 받게 된다. 보통 배포되는 웹페이지를 보면 파일과 함께 md5, sha256 파일이 같이 보여지게 되는데, 이를 이용해 내가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 제대로 받아진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macOS나 Ubuntu에선 기본으로 sha 관련 툴이 제공된다. 먼저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sha256 hash 코드를 확인해보려면,
$ shasum -a 256 ubuntu-18.04.3-desktop-amd64.iso
add4614b6fe3bb8e7dddcaab0ea97c476fbd4ffe288f2a4912cb06f1a47dcfa0 ubuntu-18.04.3-desktop-amd64.iso
결과로 다음과 같이 hash 코드가 생성되고 파일명을 같이 보여준다. 이를 위에서 보여졌던 SHA256SUMS 파일을 받아 비교해 보면,
$ shasum -a 256 -c SHA256SUMS.txt
ubuntu-18.04.3-desktop-amd64.iso: OK
shasum: ubuntu-18.04.3-live-server-amd64.iso:
ubuntu-18.04.3-live-server-amd64.iso: FAILED open or read
shasum: WARNING: 1 listed file could not be read
받을 파일 중 ubuntu-18.04.3-desktop-amd64.iso는 무결함을 검증하였다. 이제 안심하고 이 이미지 파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mysql -u root -p
mysql> CREATE DATABASE <database-name>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bin;
mysql>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name>.* TO '<confluenceuser>'@'localhost' IDENTIFIED BY '<password>';
기본 접근 경로는 http://<your_domain>:8090 이다. 처음 접속 시 라이센스 및 데이터베이스 관련 설정을 해야 하고, 약간의 시간이 걸리고 나면 완료.
설치형은 $10를 한번만 지불하면 된다. 물론 기술지원 (메이저 업데이트)을 위해선 1년마다 $10을 지불해야 하지만, 납득할 만한 가격인듯.
다음으로 현재 블로그에 사용하는 SSL을 이용해, 보안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한다.
내부 프록시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또 현재 도메인을 이용해 <your-domain>/confluence 와 같이 시용하기 위해 몇가지 설정을 한다. 이를 위해서 nginx 설정 파일, confluence의 server.xml 파일을 수정한다.